Notice
Recent Posts
Recent Comments
Link
«   2025/07   »
1 2 3 4 5
6 7 8 9 10 11 12
13 14 15 16 17 18 19
20 21 22 23 24 25 26
27 28 29 30 31
Tags
more
Archives
Today
Total
관리 메뉴

안전의 안전

안전 직업 백과사전 #7 [토목감리기술자] 본문

카테고리 없음

안전 직업 백과사전 #7 [토목감리기술자]

안전의 안전 2024. 5. 31. 09:34
728x90
반응형
SMALL

 


토목감리기술자가 하는 일

  1. 착수회의
    • 감리방법, 감리방향 등을 수립한다.
  2. 시공 점검
    • 설계도서와 시방서에 따라 시공이 이루어지는지 체크리스트 등으로 점검한다.
  3. 재료 및 품질 검사
    • 지정된 재료를 사용하거나 요구되는 품질을 확보하는지 파악하기 위해 시험에 입회하며, 시험결과를 비교한다.
  4. 문제점 보고 및 시정 요청
    • 문제점이 생기면 이를 발주자에게 보고하고, 시공자에게 시정을 요청한다.
  5. 법령 및 계약내용 준수 확인
    • 관련 법령 및 계약내용에 맞게 시공되는지 여부를 확인한다.
  6. 기술지도
    • 건설공사 전 과정의 공정, 원가, 품질, 안전, 환경관리 등에 대한 기술지도를 한다.

 

 

토목감리기술자가 되기 위한 과정

  1. 학력 및 전공
    • 대학교(4년제)나 전문대학(2~3년제)에서 토목 관련 학과를 전공하는 것이 유리하다.
    • 주요 과목: 정역학, 동역학, 재료역학, 유체역학, 구조역학, 토질역학, 암반역학, 측량학, 수리학, 수문학, 상하수도공학, 철근콘크리트공학, 교량공학, 도로공학, 철도공학, 터널공학, 댐공학, 항만공학, 토목설계 및 시공학, 지질학 등.
  2. 취업 및 경력
    • 대학 졸업 후 감리전문회사 또는 엔지니어링회사에 취업하여 감리원으로 활동할 수 있다.
    • 설계나 시공 분야에서 현장경력을 쌓은 후 관련 업체로 취업하는 경우가 많다.
    • 특성화고등학교나 3년제 고등기술학교, 직업전문학교 등에서 현장경력을 쌓은 후 감리업체로 취업하는 경우도 있다.
  3. 자격 및 등급
    • 토목감리기술자는 실무경력에 따라 특급감리원, 고급감리원, 중급감리원, 초급감리원의 4등급으로 구분된다.
    • 관련 자격: 토목구조기술사, 토질 및 기초기술사, 항만 및 해안기술사, 농어업토목기술사, 도로 및 공항기술사, 상하수도기술사, 수자원개발기술사, 지질 및 지반기술사, 토목시공기술사, 토목기사/산업기사, 토목품질시험기술사, 건설재료시험기사/산업기사/기능사, 응용지질기사, 콘크리트기사/산업기사, 철도기술사, 철도토목(철도보선)기사/산업기사/기능사, 건설안전기술사/기사/산업기사, 건축품질시험기술사 등.
  4. 필요한 능력
    • 토목공학에 대한 지식과 기술.
    • 여러 분야의 기술자들과 협업하고 조율할 수 있는 능력.
    • 건축물 품질에 대한 책임감과 꼼꼼함.

 

 

토목감리기술자의 연봉

  • 하위(25%): 4,356만 원
  • 중위값: 5,206만 원
  • 상위(25%): 5,886만 원

이 임금 정보는 직업당 평균 30명의 재직자를 대상으로 실시한 설문조사 결과 통계치로, 재직자의 경력, 근무업체의 규모 등에 따라 실제 임금과 차이가 있을 수 있다.

 

 

 

토목감리기술자의 향후 전망

  1. 고용 전망
    • 토목감리기술자의 고용은 현 상태를 유지하거나 다소 감소할 것으로 전망된다.
    • 사회기반시설이 성숙기에 접어들면서 신규 공공건설 투자가 위축될 가능성이 있다.
  2. 공공건설 투자
    • 신규 도로건설, 유지보수, 신규 철도 및 도시철도 건설, 기존 노후화된 철도 안전 및 시설개량, 소규모 공항 및 항공교통센터 건설 등에 대한 꾸준한 투자가 이루어질 것이다.
  3. 구조기술자 및 안전진단전문가 수요 증가
    • 지진 빈도 증가와 강도 강화에 따라 건축물구조진단 및 보강 업무가 증가할 것이다.
  4. 재생에너지 투자
    • 태양광, 풍력 등 신재생에너지에 대한 국내외의 신규 투자가 증가할 것이다.
  5. 건설기술 개발
    • 정부와 민간에서의 건설기술 개발 투자 확대는 건설 엔지니어링과 연구개발 부문에 대한 인력 수요를 증가시킬 것이다.

 

건설업계는 국내외 경기 부진 지속, 국제 경쟁력 하락 등으로 외환위기(IMF) 이후 오랫동안 상시로 인적 구조조정을 해 왔기 때문에 추가 인력감축이 크지 않을 것이다.

 

 

 


*출처: 구글검색 블로그 및 구직포털


 

 

 

 

#산업안전

#산업재해

#산업안전산업기사

#산업안전기사

#산업안전자격증

#안전자격증

#재해예방

#재해사례

#산업재해예방

반응형
LIST