안전의 안전
안전 직업 백과사전 #13 [내선전공] 본문
728x90
반응형
SMALL

이름만 들어서는
대학교 전공?
무협지 어떠한 기술 이름?

내선전공이 하는 일
- 배선도 및 구조 파악: 옥내 배선도나 도면을 읽고 수용가옥 구조, 구조물 내부 상태, 인입 가능한 배전선로 위치 등을 파악합니다.
- 배관 및 장치물 설치: 구조물의 내부 상태를 파악하고 배선을 위한 슬래브배관, 노출배관, 벽체배관, 분전반, 덕트 등 배관 및 장치물을 설치합니다.
- 전선 인입 및 연결: 배관을 따라 전선을 인입선(요비선)으로 인입하고 인출하여 연결합니다.
- 가요전선관 및 맨커버 설치: 배선루트를 따라 가요전선관(플랙시블관)과 맨커버를 설치하고 전선을 설치합니다.
- 인입선 및 차단기 설치: 가공배전선에서 인입구까지 인입선을 케이블로 연결하고 차단기를 설치합니다.
- 설비물 설치 및 연결: 건물 내 조명, 콘센트류, 스위치, 기구 등 설비물을 설치하고 인출선에 연결합니다.
- 접지선 연결: 접지선을 연결하여 땅속에 묻습니다.
- 전선 보호: 전선을 보호하기 위하여 금속 또는 플라스틱 몰드를 설치합니다.
- 배전함 설치: 배전함을 설치합니다.
- 검사 및 시험가동: 배선이 완료되면 회선단락, 저항, 배선상의 결함을 메가(절연체크기), 후크메타(암페어측정기) 등으로 검사하고, 전류를 투입하여 시험가동합니다.
내선전공이 되기 위한 과정
- 학력: 특별한 학력제한은 없지만, 전기회로나 배선도면을 이해해야 하기 때문에 고등학교 이상의 학력수준이 필요합니다.
- 교육: 특성화고등학교 졸업자나 공공 및 민간 직업훈련기관의 전기 관련과를 졸업한 경우가 많으며, 2~3년제 대학 이상의 학력을 갖춘 사람도 증가하고 있습니다.
- 기술 습득: 전력 및 전기 시설의 대용량화·고속화에 따라 새로운 기술을 습득해야 하며, 전기에 관한 이론적 지식과 현장 실무 경험이 필요합니다.
- 색맹 제한: 작업 중 여러 색상의 전선을 구별해야 하기 때문에 색맹이면 업무수행이 어렵습니다.
내선전공의 연봉
- 하위 25%: 3,507만 원
- 중위값: 4,120만 원
- 상위 25%: 4,679만 원
- (※ 위 임금 정보는 직업당 평균 30명의 재직자를 대상으로 실시한 설문조사 결과 통계치입니다. 재직자의 경력, 근무 업체의 규모 등에 따라 실제 임금과 차이가 있을 수 있습니다.)
내선전공의 향후 전망
- 고용 전망: 내선전공의 고용은 현상 유지할 것으로 전망됩니다.
- 건설경기 영향: 내선전공의 경우 건설경기에 직접적인 영향을 받으며, 최근 건설업의 부진으로 내선전공의 고용 수요는 당분간 위축될 것으로 보입니다.
- 자동화 및 스마트그리드: 기업들이 전기공사에 사용되는 장비를 자동화하고, 스마트그리드의 도입으로 전기설비가 자동화 시스템으로 운영되어 고장 원인을 사전에 예방함에 따라 향후 5년간 내선전공의 고용은 현상 유지할 것으로 예상됩니다.

*출처: 구글검색 블로그 및 구직포털
#산업안전
#산업재해
#산업안전산업기사
#산업안전기사
#산업안전자격증
#안전자격증
#재해예방
#재해사례
#산업재해예방
반응형
LIST